예비 2년차 회고록
1. 블로그 시작의 이유
취준시절 제외하고는 블로그 작성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었는데
이번에 새 안드로이드 개발자분이 들어오셔서 코드 리뷰를 하다보니,
그리고 안드로이드 개발자회의(장황해 보이지만 CTO 이사님 제외 두명!)를 제안하고 나니 이력정리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 전에 겸사겸사 회사에 들어오고 느꼈던 것들을 정리하면 좋을 것 같아서 약 11개월간의 회고록을 작성하고자 한다.
2. 팀의 시작
2020년 4월, 처음 팀을 들어왔을 때는 4명이 전부였다.
각각 서버, 웹, ios, aos(나) 였고, 이사님 총괄이었다.
참고로 현재는 운영팀과 사업기획팀이 추가되어 현재는 8명으로 구성되어있다.
간단히 내가 맡은 앱을 소개하자면,
탁송을 요청하는 요청앱(렌톡)과
그 탁송을 수행하는 앱(수퍼드라이버)가 있다.
입사직후 당장 2개월 뒤 앱 출시 일정이 잡혀있었고, 나에게 주어진 건 두개의 앱중에 하나인 수퍼드라이버였다.
나름 코틀린을 좋아했던 터라 자바로 되어있던 레거시 코드를 코틀린으로 바꾸었고 새로운 기능도 넣고..
되돌아보면 지금까지 통틀어서 가장 바빴던 시간이었다.
예상했겠지만 상용에 나가면서 펑펑 터졌고 겪을 수 있는 모든 실수들을 다 한 것같다…
다행이 혼내고 다그치시기보단 필드테스트란 핑계로,, 바람도 쐬게 해주시고 분위기 환기도 해주시면서 믿고 맡겨주셨다.
3. 인식의 변환
a. 신기술에 대한 욕심
이게 모든 개발자가 그런건진 몰라도 신기술에 대한 욕심이 있었다.
기술에 대한 욕심은 물론 좋은것이지만 기본기가 탄탄해야 그 욕심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건데 마냥 신기술만 쫓았던 것 같다.
처음 레거시 코드를 봤을때 기교도 없고, 패턴도 없는 무난한 코드였다. 주석도 없었는데 마냥 쭉쭉읽어졌다.
사실 이게 엄청나게 대단한 코드(가독성무엇)였는데… 그 당시에는 이것도 넣고 싶고 저것도 넣고 싶고 그냥 신기술을 쓰고 싶었다.
마냥 mvvm적용해보고 rx적용하고 그랬다가 다시 빼고.. 일단 적용하고 봤다.
그럴때 마다 이사님은 기술 적용을 막으시진 않앗지만, 사용해야되는 이유와 기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주셨다.
라이브러리를 쓰더라도 그게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 사용하고,
패턴을 쓰더라도 왜 필요한지를 알고 사용하라고 조언해주셨다.
이제는 어깨넘어 배워온대로.. 라이브러리는 최대한 적게, 최소한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파악하고 사용하고,
패턴도 유행이라고 마냥 따라가기보단 적용할 이유를 찾아가며 사용하자(예를 들어 테스트 코드작성을 위해 뷰와 로직을 분리하기위한 mvp)라고 관점이 변하게 되었다.
이 얘기완 별개로,
mvvm을 속도면에서 좋은 것같아서 렌톡에서 가장 많이 접근하는 화면에 적용해 봤었는데,
얼마전 코드리뷰를 준비하다보니 너무 가독성이 없단 것을 깨달았고, 다시 원복했다.
사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 것같긴한데 아직은 매력적인 이유를 모르겠다.
내 생각엔 지금의 앱엔 아직까지는 필요하지 않을 것같다. 대신, 요즘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면서 ui에 대한 테스트뿐아니라 실제 로직에 대한 테스트도 있으면 안정성이 높아질거같아서 뷰와 로직을 분리하기위해 mvp 패턴을 적용중이다.
b. 관점의 전환
입사 면접부터 리더들이 강조하던 것이 고객관점사고(항상 고객이 바꾸라면 바꾸는 거다)와,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해왔다.
그래서 어느샌가 바꾸면 바꾸는 거지. 시간만 넉넉하게 주세요. 라는 인식이 생겼는데 이게 이후 들어온 팀원들에겐 신선했나보다. 이런 팀원들은 처음봤다며 놀라워했었다.
이후 들어온 팀원들은 대부분 경력직이었고 운영팀과 사업기획, 디자인 등 비개발직군이었다.
그들의 겪었던 개발팀은 무조건 안돼요를 외쳤다고는 하는데.. 사실 그것도 이해를 못하는바는 아니다.
내가 인턴할때 봤던 개발자들은 회사가 갑이 아닌 을이였으며 늘 기한과 잦은 요구사항변경, 야근에 휩쓸려다녔다.
사실 개발팀은 어느쪽에서도 욕먹기 좋고 가장 데드라인과 맞닿아 있는 직군이기 떄문에 안된다..를 달고 사는것도 어느정도는 이해된다.
사실 처음부터 바꾸면 바꾸는 거지라고 생각할 수 있던 것은 아니었다.
시행착오가 있었는데, 바로 팀이 커지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서비스를 일단 출시하는게 목표였기때문에 code & fix로 진행되다가 갑자기 SRS며 문서며 개선사항회의, 주간회의며 절차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개발자임에도 불구하고(이때는 이렇게 생각했다. 물론 지금은 아님) 들어오는 멤버들에게 앱소개며
모든 서비스 관련 질문에 대답을 해야했고 업무시간내 100%이던 개발시간이 채 50%도 안되며 할 일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내가 왜 이걸해야되지.. 개발시간 없어지는데.. 나 할 일 많은데.. 이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이 생각이 깨진게 한 한달 쯤 후 부터였는데,
일단, 리더들은 그동안 개발 직군에게 우리는 사업회사다 고객이 바꾸자하면 바꾸는거다 라는 인식을 심어줬듯,
반대로 비개발 직군에게는 개발자의 시간은 금이다. 꼭 필요한것만 요구해야한다. 요구하기전에 고객적 관점에서 꼭 필요한 것인지. 데이터로, 상황으로 개발자를 설득해야한다며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에 따라 일하는 방식이 아래와 같게 진행되었다.
- 왜 그 기능이 필요한지(서비스에 도움이 되거나 사용자가 불편해한다면)를 데이터를 근거로 충분히 이야기했고,
- 만약 그 기능이 기술적으로 오래걸리거나 어렵다면, 왜 안되는지 이유와 대안을 제시했다.
- 또한, 모든 구성원이 회의에 참여하여 더 좋은 방안과 그 안건에 대한 개발여부을 논의했다.
- 그리고 기한은 언제까지 해주세요 가 아닌 언제까지 돼요? 로 각자의 업무의 상황과 우선순위가 존중되었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이 과정속에서 프로세스가 결코 내 개발 시간을 뺏기 위함이 아니며 오히려 내 개발시간을 줄이고, 우선순위가 높은 개발에 집중하게 해주기 위한 과정이라는 것을 어느순간 깨달았고, 나는 여태 참 좁은 관점을 가지고 있었구나라고 느끼면서 바꾸면 바꾸는 거지
라는 마인드로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새로온 팀원들에게 개발은 하면된다. 바꿀 이유가 있다면(서비스에 도움이 되거나 사용자가 불편해한다면) 바꾸는 거다. 시간만 달라ㅋㅋㅋ 라고 말하고 다니곤 한다.
4. 마무리
나 스스로도 11개월만에 많이 성장함을 느꼈고 주변에 좋은 사람들과 성취감을 느끼면서 일한다는 것이 참 운이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좋은 것이 있으면 나쁜 것이 있듯 나도 부족함을 느끼는 부분이 있었다.
바로 기술적인 외로움이었다. 개발도 다 파트별로 담당제로 나누어져있고 서로의 영역이 너무 다르다보니(그나마 ios는 비슷하지만 충족시켜주지는 못한다) 이게 돌아가긴 하는데 이게 맞는 코드일까하는 의문도 있었고 신기술을 바로 적용하진 않더라도 알고 공유할 수 있는 러닝메이트가 있었으면 싶었다. 코로나 시국이라 커뮤니티나 밖으로 나다니지 못한 것도 한 몫했다.
다행히 최근에 다른 팀이지만(같은 그룹) 안드 신입개발자가 오셨고 이야기를 나눠보니 내가 딱 처음 시작했을 떄 재미.. 열정 이런게 가득차신 분이었다. 매주 30분씩 돌아가면서 자유주제로 aos개발자 회의를 하면 어떨까요? 라며 제안을 했고 하는김에 블로그에 남겨놓으면 나의 성장(이라하고 이직준비라 읽는다)에 도움이 될 것같아 작성하려고 한다.
Discussion and feedback